최근 예능 ‘나 혼자 산다’에서 배우 안재현 씨가 공개한 성동구 아파트가 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안재현 씨는 성동구 성수동2가의 고층 아파트(20층)에 거주하며, 일상과 집 내부를 솔직하게 보여주었는데요.
특히 엘리베이터 교체 공사로 계단을 오르내리는 모습까지 방송에 등장해 많은 이들의 공감을 샀습니다.
성동구, 특히 성수동 일대는 최근 서울에서 가장 주목받는 주거지로 떠오르고 있죠. 함께 살펴보시죠.
성동구 시세 흐름
2025년 6월 기준, 성동구 아파트값은 12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최근 한 달 사이 매매가격이 2억 원 이상 오르는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확대 이후 강남권 수요가 성동구로 유입되면서 시세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성동구는 6월 셋째 주에만 0.76% 상승하며,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이는 강남, 서초, 송파 등 전통적 강세 지역보다도 높은 수치입니다. 2024년 11월 기준 평당가는 5781만 원으로, 서울 평균(4958만 원)보다 16% 이상 높습니다.
성동구 대장주 아파트 5선
- 행당한진타운 숲세권, 역세권, 학세권을 모두 갖춘 대단지로, 실거주 선호도가 높고 최근 매매·전세·월세 모두 강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금호삼성래미안 13억 후반대 실거래, 우수한 학군과 교통.
- 서울숲리버뷰자이 22억대 실거래, 한강 조망권.
- 서울숲힐스테이트 서울숲 인접, 10억 초중반대 거래.
- 성수아이파크 역세권, 대단지, 실거주와 투자 모두 인기.
성수동 시세 흐름
성수동은 성동구 내에서도 가장 빠른 시세 상승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6월 기준, 성수동 아파트의 3.3㎡당 매매가는 약 5,974만 원으로, 성동구 평균(4,631만 원)보다 1,300만 원 이상 높습니다. 트리마제, 갤러리아포레, 아크로서울포레스트 등 하이엔드 아파트의 평당가는 1억 원을 넘어서고 있으며, 실거래가는 20억~30억 원대에 이르는 등 부촌 이미지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성수동 대장주 아파트 5선
순위 | 단지명 | 입주년도 | 총가구수 | 3.3㎡ 당 가(만원) |
1 | 트리마제 | 2017 | 688 | 9,424 |
2 | 갤러리아포레(주상복합) | 2011 | 230 | 9,615 |
3 | 강변건영 | 2002 | 580 | 5,760 |
4 | 성수아이파크 | 2003 | 656 | 4,413 |
5 | 쌍용아파트 | 1997 | 777 | 5,214 |
이외에도 서울숲힐스테이트, 성수롯데캐슬파크 등이 대장주로 꼽힙니다.
성수아이파크 장단점 (교통, 학군, 편의시설)
장점
- 교통: 지하철 2호선 성수역 도보 5분, 강남·광화문·여의도 등 주요 업무지구까지 20~40분 내 이동 가능. 동부간선도로, 강변북로 등 주요 도로와 인접해 자가용 이용도 편리함.
- 학군: 초·중·고 모두 도보 통학 가능, 인근에 서울성수초, 성수중, 무학여고 등 우수한 학군 분포.
- 편의시설: 단지 내 노인정, 어린이놀이터, 자전거보관소 등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 인근에 공원(성수공원, 한강공원), 대형마트, 병원, 은행 등 생활 인프라 풍부.
단점
- 준공 20년 이상 경과로 일부 시설 노후화, 관리 필요성.
- 주차공간이 세대당 1대 내외로 부족할 수 있음.
- 고층 일부 라인 제외 시 한강 조망권 한계.
성수아이파크 매매, 전세, 월세 시세 흐름
2025년 6월 기준 성수아이파크의 30평대(전용 106㎡) 실거래가는 14억 초중반대, 40평대(전용 127㎡)는 16억 초중반대에서 형성되고 있습니다. 전세 시세는 7억~8억 원대, 월세는 보증금 1억~2억 원에 월 200만~300만 원 선이 일반적입니다. 최근 1년간 매매가는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성수아이파크의 실거주 만족도는 어떤가요?
A. 교통, 학군, 생활 인프라가 모두 뛰어나 실거주 만족도가 높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다만 준공 20년 이상으로 시설 노후화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Q2. 투자 가치가 여전히 높은가요?
A. 성수동 일대는 재개발, 정비사업, 신축 아파트 공급 등 호재가 많아 중장기적으로도 투자 가치가 높게 평가됩니다. 특히 강남 접근성, 한강 조망권, 핫플레이스 인접 등으로 꾸준한 수요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Q3. 전세나 월세 수요는 어떤가요?
A. 직주근접, 학군, 교통 등으로 실수요가 풍부해 전세·월세 모두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최근 전세가율도 높아 임대 수익을 노리는 투자자도 많습니다.
Q4. 2025년 이후 시세 전망은?
A. 단기적으로는 급등세 이후 조정 가능성도 있지만, 서울 내 입지와 인프라, 개발 호재를 감안하면 장기적으로는 우상향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많습니다.
'부동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위뉴타운 재개발 투자 시기? 장위10구역 전광훈 빼고 시동건다 (0) | 2025.06.27 |
---|---|
집값 폭등기, 계약 파기와 배액배상 함정 피하는 법 (0) | 2025.06.25 |
시세 절반 단 4가구 둔촌주공 무순위 청약, 당첨 전 필수 준비 사항은? (0) | 2025.06.23 |
안재현 신혼집이었던 '금호자이2차', 수요 꾸준한 이유가? (0) | 2025.06.23 |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줍줍'에 얼마나 몰릴까 (0) | 2025.06.22 |